윈도우 10 지원 종료 시점과 영향, 보안 대책 및 업그레이드 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윈도우10 지원 종료, 지금 꼭 알아야 할 정보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는 2025년 10월 14일부로 윈도우 10에 대한 모든 지원을 공식 종료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지원 종료는 홈(Home) 및 프로(Pro) 버전 사용자 모두에게 적용되며, 이 날짜 이후부터는 보안 업데이트, 기술 지원, 기능 개선이 더 이상 제공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윈도우10을 계속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할까요? 이번 글에서는 윈도우 10 지원 종료의 의미부터 대처 방법, 윈도 11로의 전환 가이드까지 꼼꼼히 정리해 드립니다.
왜 윈도우 10 지원이 종료되나요?
윈도우 10은 2015년 출시 이후 10년간 운영체제 생명주기(Lifecycle)를 거쳤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각 운영체제에 대해 정해진 지원 주기(EOS: End of Support)를 제공하며, 윈도우10 역시 예정된 종료 시점을 맞이하게 된 것입니다.
이는 새로운 기술과 보안 환경에 대응하고 최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지원 종료 시 어떤 문제가 생기나요?
지원이 종료되면 다음과 같은 이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보안 위협 증가: 새로운 보안 패치가 제공되지 않아 악성코드 및 해킹에 취약해짐
- 소프트웨어 호환성 저하: 신형 소프트웨어 및 드라이버와의 호환 문제 발생
- 기술 지원 단절: 마이크로소프트 및 OEM 제조사로부터 기술 지원 불가
- 업데이트 중단: 기능 추가 및 성능 향상 업데이트 불가
윈도우10 계속 사용은 가능할까?
기술적으로는 지원 종료 이후에도 윈도우10 사용은 가능합니다. 다만 보안 패치가 더 이상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 환경에 따라 큰 리스크가 따릅니다. 기업이나 기관의 경우 보안 규정을 만족시키기 어려울 수 있으며, 가정용 사용자라도 인터넷 뱅킹, 민감한 데이터 이용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대안: 윈도우 11 업그레이드 방법
윈도우 11로의 전환은 가장 권장되는 방법입니다. 아래는 간단한 업그레이드 절차입니다:
- PC 호환성 확인: 마이크로소프트의 PC Health Check Tool 사용
- 데이터 백업: 업그레이드 전 중요한 파일은 외부 저장소에 백업
- 윈도우11 다운로드 및 설치: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사이트에서 설치 도구 실행
- 드라이버 업데이트 확인: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최신 드라이버 설치
윈도우11 사용이 어렵다면?
윈도 11의 시스템 요구사항(TPM 2.0, UEFI 부팅 등)을 만족하지 못하는 구형 PC는 업그레이드가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대안이 있습니다:
- 윈도우 10 연장 지원 구매 (기업용 한정)
- 보안 소프트웨어 강화 후 윈도우10 계속 사용
- 경량 리눅스 배포판(Linux Mint, Ubuntu 등)으로 전환
- 중고 또는 리퍼 PC로 교체
결론: 지금부터 준비하자
윈도우10 지원 종료는 단순한 운영체제 교체가 아니라 보안과 시스템 안정성에 직결되는 문제입니다. 지금부터 PC 상태를 점검하고 업그레이드 또는 대체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입니다. 특히 기업과 기관에서는 대규모 전환을 위한 사전 계획이 반드시 필요합니다.